일본 고급 호텔의 급증, 일본 지역 사회에 미친 영향

호텔 격변! 외자계 고급 호텔 진출 러시

외자계 일본 고급 호텔의 일본 진출. 도쿄 23구에서는 2023년, 싱가포르나 이탈리아, 미국 등에서 세계의 부유층을 대접해 온 럭셔리 호텔이 새롭게 6채 오픈. 앞으로도 잇달아 오픈 예정입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도쿄에 한정되지 않고 전국 각지에 퍼져 있습니다.

Klook.com

외자계 일본 고급 호텔 진출 그 목적은?

1월, 나가사키시에 오픈한 것은 미국의 호텔 체인, 메리어트사의 고급 호텔입니다. 새로운 호텔의 탄생에 현지 정재계도 큰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나가사키 메리어트 호텔

호텔을 유치한 JR규슈 사장
「나가사키라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관광지, 여기서 전세계에 (호텔) 회원이 있는 강한 외자계의 호텔이 필수라고 생각했다」

메리어트 나가사키 임패리얼 스위트

이곳은 1박 55만엔의 임페리얼 스위트룸. 대상은 외국인 부유층입니다.

일본을 방문하는 외국인 가운데 부유층은 전체의 불과 1%. 그러나 그들이 일본에서 소비하는 금액은 연간 약 5,500억엔. 외국인 여행자 전체의 소비액의 11.5%를 차지합니다.

일본에서는 왕성한 소비를 기대할 수 있는 외국인 부유층을 위한 호텔이 적고, 지금 외자계 호텔이 전국 각지에 잇달아 진출하고 있습니다.

메리어트 인터내셔널 칼 허드슨 일본 지구 대표
“일본 이외의 선진국, 예를 들면 유럽 국가, 호주나 미국 등과 비교하면, 호주 미국쪽이 훨씬 럭셔리 호텔이 많은 경향이 있다.” 일본은 다른 선진국에 비하면 럭셔리 호텔이 적다고 판단.


일본 각지로 확대되는 외자계 호텔

외자계 호텔 체인이 노리는 것은 부유층만이 아닙니다. 지금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전국 각지에 주요 국도 휴게소 주변으로 짓고있는 호텔이 있습니다.(메리어트 페어필드 호텔)

트윈룸의 가격은 1박 1만 9,360엔. 호텔에는 레스토랑이 없으며 숙박객은 미치노에키(휴게소)와 인근 레스토랑을 이용합니다. 일본의 지방에 관심이 있는 외국인의 인바운드 수요를 한층 더 넓혀가는 것이 목적입니다.

->NHK취재에서는 호텔이름을 명시하지 않았는데. 메리어트의 페어필드 호텔입니다. 최근 일본 지방 곳곳의 미치노에키(휴게소)에 호텔을 짓고 있죠. 4년 동안 29곳을 지을 계획이라고 하네요.


일본 정부의 지원

외국계 호텔 진출 러시 배경에는 국가 정책도 있습니다. 2030년까지 외국인 관광객을 지금보다 두 배 이상의 6,000만 명으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내세워 건물의 규제를 완화하는 등 새로운 호텔 건설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일본 정부에서도 적극적으로 해외 호텔 브랜드 유치에 나서는 모양세입니다. 관광객들을 유치하려는 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중이네요.

일본 기업의 전략

다양한 일본 현지 기업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 하나, 오사카의 주요 주택 메이커. 지금 호텔 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방금 전의 미치노에키 인접형 호텔도, 이 메이커가 외자와 짜서 시작한 프로젝트. 그 밖에도 오사카나 교토, 요코하마 등에서 외자계 고급 호텔을 다루고 있습니다. 건설하는 빌딩에 외자계 호텔을 유치함으로써 다양한 이점이 있다고합니다.

-> 세키스이하우스 라는 일본의 주택 건설 쪽의 대기업입니다.

호텔 건설을 위한 규제완화

이 메이커가 다룬 오사카 미도스지를 따라 복합 빌딩. 이곳은 원래 50미터까지라는 건물의 높이 제한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오사카시는 호텔을 넣는 것을 조건으로 140미터까지 제한을 완화한 것입니다. 호텔 사업의 수익을 전망할 뿐만 아니라 빌딩 전체의 가치도 높일 수 있다고 합니다.


외자계 호텔 운영의 구조는

-> 여기서부터는 NHK스튜디오에서 진행된 전문가와의 대화 내용인데요. 한 번 살펴 보겠습니다.

<스튜디오 토크>

캐스터 :
여기부터는 세계의 호텔 사정에 익숙한 사와 야나기 치히코 씨에게 물어 갑니다. VTR에서 보면 외자계 호텔의 진출 러시, 거기에는 다양한 생각도 있는 것 같습니다만, 왜 지금, 해외의 호텔 그룹은 일본에 주목하고 있는 것일까요.

사와야나기씨:
일본에도 일본에 오는 부유층을 받아들이는 호텔이라고 하는 것은 있습니다만, 해외에 비하면 수가 아직 부족하다는 현상이 있습니다.

이른바 5성급 호텔의 수는 미국은 압도적 1위이 입니다만. 아시아의 태국이나 인도네시아에 비해 일본은 아직 적다는 것.
해외에서의 일본 여행의 인기가 계속해서 높아지고 있어서 외자계 호텔 체인은 비즈니스 기회를 발견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캐스터:
그리고 정부도 외자계 호텔의 진출을 뒷받침하고 있는 것 같네요.

사와 야나기:
네. 정부는 2030년까지 방일 외국인의 수를 배 이상의 6,000만명으로 끌어올려, 1인당 소비액을 25만엔으로 하는 것으로, 총 15조엔 규모의 산업으로 키우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다 합니다.

캐스터:
지금, 15조엔 규모로 말씀하셨습니다만, 이것(위 그림)을 봐 보면 2023년, 5조엔이니까, 현재의 3배 정도 늘려가고 싶은 생각인거군요.

사와 야나기 씨:
맞습니다.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수뿐 아니라 1인당 소비액을 늘린다는 것이 중요합니다.
해외의 고급 호텔의 수가 부족하다는 인식하에, 예를 들어 객실이 넓은 호텔을 개발하면 빌딩의 용적률을 완화하는 등 우대책이 나오게 되어 왔습니다.

캐스터:
그리고, 국내 기업도 외자계 호텔의 진출에 한몫하고 있다고 하는 것입니다만.

사와 야나기 씨:

해외 호텔 체인은, 실은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는 것은 아니고, 호텔의 운영에만 특화하고 있는 곳이 많습니다.
누가 부동산을 가지고 있을까라고 하면, 일본의 하우스 메이커이거나, 철도회사이거나, 사업회사라는 것이 됩니다. 일본의 기업은 해외의 호텔을 운영하는 노하우라든가, 혹은 부유층의 집객력이라든가, 이러한 것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거기에 갖고 있는 외자계의 호텔 체인에 운영을 위탁한다는 도식이 되어 있습니다.

캐스터:
운영료를 지불하면. 서로 윈윈의 관계가 되고 있다고 하는 것이군요.

사와 야나기 씨:
맞습니다.

캐스터:
하지만, 일본 국내 브랜드 호텔들도 많은데요. 왜 일본이 아니라 외자계 호텔을 유치하는 것은 어째서일까요.

사와 야나기 씨:
가장 큰 이유는 그들이 가진 회원 제도입니다.

위에서부터 메리어트, 힐튼, IHG 회원수

세계 3대 호텔 체인은 모두 1억명이 넘는 회원을 보유하고 있어, 이것이 강력한 집객력을 자랑하는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회원은 예를 들면 출장으로 체인호텔에 묵어 포인트를 하기 때문에, 그 포인트로 이번에는 같은 체인의 리조트 호텔에 가족을 데리고 무료로 묵으러 가는 등, 다양한 특전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성장 분야의 인바운드 고객을 불러들이고 싶은 일본의 기업은, 이러한 회원 제도를 가지는 외자계 호텔과 협업하고 싶은 것입니다.

캐스터:
외국계 호텔 진출 러시 배경에 있는 일본을 방문하는 외국인의 급증.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고 있으며 앞으로도 성장이 예상됩니다. 그 중에서 우리에게 고통스러운 문제 중 하나는 숙박 요금의 상승입니다.

코로나와 정부의 여행 지원 등의 영향은 있었지만, 일본의 숙박료는 오랫동안 거의 변동없이 유지되어 왔습니다. 그것이 2023년부터 전례 없는 급등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2023년 1월은 1박 1만 6,000엔 정도였지만, 2024년 1월은 2만엔을 넘고 있습니다.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도

크게 바뀌고 있는 일본의 호텔 업계. 지역사회에도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오키나와현・미야코지마. 이제 호텔의 건설 러시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 오키나와 현 미야코지마의 호텔 진출 러쉬로 지역 부동산 값도 치솟고 있다는 내용을 설명하네요.

일손 부족 -> 가동률 저하 -> 숙박비 상승

비지니스 호텔의 숙박비 상승의 요인으로 여러 이유가 있지만 일손부족도 원인이라고 설명하네요.

인력부족으로 호텔 가동률이 떨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 숙박비가 상승한다는 분석이었습니다.


정리

위 내용들을 정리해보면 최근 일본에는 외자계 호텔들이 대거 진출하고 있으며, 고급 호텔들이 부유층 외국인을 주요 타겟으로 삼아 숙박비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독특한 컨셉의 호텔도 증가하며 다양한 관광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는 주택 임대료 상승 등 경제적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는것도 사실입니다. 지역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일본 현지 국내 사정이었습니다.

한국도 최근 외국인 관광객들이 많이 방문하고 있는 추세인데요. 한국은 일본과 다르게 글로벌 호텔 브랜드의 진출이 그렇게 활발하지는 않은편인것 같습니다. 통계 자료도 살펴보니 한국은 아직 코로나 전 수준을 넘지 않은 상태이더군요. 한국도 외국인 방문객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된다면 어떻게 변할지 궁금해 집니다.


일본의 외작계 럭셔리 호텔

아만 도쿄(Aman Tokyo) 도심형 초럭셔리 호텔

아만 교토(Aman Kyoto) 교토 최상위 호텔

Leave a Comment

error: Content is protected !!